법을 세운 것은 죄를 많게 하려 하심
하나님이 에덴동산에 선악과를 두신 것은 아담 하와가 완전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완전한 곳에는 법이 있어도 그 법이 장해가 되지 않는다. 기록된 바
디모데전서 1장 9절 [ 알 것은 이것이니 법은 옳은 사람을 위하여 세운 것이 아니요 오직 불법한 자와 복종치 아니하는 자] 들을 위하여 세운 것이라고 하였다.
완전치 못한 곳에는 법이 오히려 큰 장해가 되고 마는 것이다. 사도 바울은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로마서 7장 10~11절 [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나를 속이고 그것으로 나를 죽였는지라]
에덴동산에는 선악과가 계명이 되었다. 마귀는 기회를 타서 하와를 속이고 선악과를 먹게 하였고 또 아담에게도 주어 먹게 하고 사망에 이르게 된 것이다 ( 창세기 3장 1~6절 참고). 계명은 살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나 결국에는 계명을 범하고 사망 안에 갇히고 말았다. 기록된 바
로마서 5장 20~21절 [ 율법이 가입한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 이는 죄가 사망 안에서 왕노릇한 것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노릇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니라] 하였다.
참으로 오묘하고도 신비스러운 하나님의 섭리는 가히 측량하기조차 어렵다. 에덴동산에도 선악과로 법을 세웠지만 결국 그 법에 의해 죽고 말았고 시내산에서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으로 법을 세웠으나 그 법으로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로마서 7장 9~11절). 그러므로 사망에 이르게 된 인생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그리스도께서 오셨으니 누구든지 저를 믿으면 구원받게 하신 것이다( 요한복음 3장 4~18절, 로마서 3장 21~26절 비교).
아담은 육의 몸으로 많은 사람을 범죄케 하였고 예수님은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죽게 된 영혼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하늘 영광의 보좌를 떠나 신령한 몸으로 많은 범죄한 사람들에게 영생을 가져다 주신 것이다. 사도 바울은 죄악의 몸인 육신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산다는 말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기록된 바
고린도전서 15장 42~49절 [죽은 자의 부활도 이와 같으니 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며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며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사나니 육의 몸이 있은즉 또 신령한 몸이 있느니라 기록된 바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주는 영이 되었나니 그러나 먼저는 신령한 자가 아니요 육 있는 자요 그 다음에 신령한 자니라 첫 사람은 땅에서 났으니 흙에 속한 자이거니와 둘째 사람은 하늘에서 나셨느니라 무릇 흙에 속한 자는 저 흙에 속한 자들과 같고 무릇 하늘에 속한 자는 저 하늘에 속한 자들과 같으니 우리가 흙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은 것같이 또한 하늘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으리라] 하였다.
위의 말씀을 정확하게 해석하자면 아담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육의 몸으로 심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육의 몸에서 신령한 몸으로 사는 것을 보이신 것이다.
혹은 말하기를 " 하나님께서 적은 숫자를 구원하시기 위해 많은 무리가 희생되게 하신 이유는 어디 있는가?" 할 것이다. 많은 무리가 희생되는 것은 천사세계에서 많은 천사들이 반역의 행위로 죽을 죄를 범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구 안에 있는 인간 세상을 볼 때 많은 무리가 희생되는 것같이 보이나 우주 전체 안에 천사세계를 생각하면 지상에서 희생되는 숫자는 극히 적은 숫자이다. 그리고 사망에 들어간 많은 무리 중에서 적은 무리로 구원받게 된다면 구원받은 자의 영광은 하늘에 사무칠 것이다. 그는 자기를 구원하신 구원자에 대해 그 은혜를 얼마나 감사할 것인가?" 이렇게 하신 것도 구원받은 자가 구원자에 대해 그의 영광을 알게 한 것이다. 기록된 바
로마서 9장 21~24 [ 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드는 권이 없느냐? 만일 하나님이 그 진노를 보이시고 그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또한 영광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부요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하리요 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 하였다.
하나님은 귀한 그릇에게 하나님의 영광을 알리시기 위하여 천한 그릇을 많이 만드시고 많은 시험 가운데서 하나님의 오묘한 이치를 귀한 그릇에게 보이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신 것이다.
그러면 다음 장부터 위에 기록한 문제들과 영혼 문제에 대해 세부적으로 연구해 보기로 하자.
https://youtu.be/ez12pdY-UuY?si=xNd__-Z_Yq_3kapX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교회 직장인청년봉사단 ASEZ WAO, ‘2023 그린애플상’ 동상 수상 (12) | 2023.11.27 |
---|---|
[하나님의 교회] 어머니 교훈 중 여섯 번째 교훈 (25) | 2023.11.22 |
[하나님의 교회] 어머니 교훈 중 다섯 번째 교훈 (18) | 2023.11.20 |
[하나님의 교회] 성경에 ‘예수님의 아내’가 있나요?예수님의 아내에 관한 성경의 예언 (24) | 2023.11.19 |
[하나님의 교회] 마지막 아담과 하와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21) | 2023.11.18 |